E-mobility
바로가기

국가 주력산업 고도화 사업인 지능형 친환경 전기 동력 이동수단 (E-Mobility)을 중심으로
미래 산업에 필요한 전기전자시스템 설계/제조/연구 능력을 갖춘 우수한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합니다.
창의성과 전문성을 갖춘 유능한 교수자들과 E-Mobility 기술 요소 전문성을 보유한 기업들이 함께 첨단화 전공교육과정을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산·학·연 연계를 강화하여 전기/전자/메카트로닉스 산업의 혁신과 첨단화, 국가 경쟁력 강화를 선도할 전문 엔저니어 육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교육목표
친환경 E-Mobility 산업 선도를 위한 전자시스템 설계 전문인력 양성 체계 구축을 목표로 하여 학생을 선발하고 스마트제조엔지니어링 분야 스마트 전기제어 시스템 설계 전문가 양성
E-Mobility 분야에 범용 가능한 직무역량들을 중심으로 학부 융∙복합 교육과정을 통한 전문 인력 양성
친환경 정책에 발맞춰 탄소 배출저감 E-Mobility 신산업분야의 발전 동력을 얻기 위한 전문 인재 양성
창의성, 문제해결능력, 소통∙협업, 네트워킹 소양을 갖춘 융합형 인재 양성
참여학과 현황
융합전공명 | 주관대학 | 학부(과) | 참여대학명 | 참여학과 |
---|---|---|---|---|
E-Mobility | 국립창원대 | 전기전자제어공학부 | 경상국립대학교 | 반도체공학과, 전자공학과,제어로봇공학과 |
경남대학교 | 전기공학과,전자SW공학과 | |||
인제대학교 | 전자IT기계자동차공학부 | |||
울산대학교 | 전기전자공학과 | |||
영산대학교 | 전기전자공학부 | |||
창신대학교 | 스마트융합공학부, 소방방재공학과, 항공기계공학과 컴퓨터소프트웨어공학과 |
교수진
소속(대학명) | 성명 | 교과명 |
---|---|---|
국립창원대 | 최중경 | 전기자동차구동제어기설계 |
김영희 | 차량용반도체설계 | |
하판봉 | 차량용반도체설계 | |
장기봉 | 엔터프라이즈디자인 | |
박홍규 | 엔터프라이즈디자인 | |
고웅 | 엔터프라이즈디자인, 지능형전력계통공학 | |
김태규 | 엔터프라이즈디자인 | |
박승규 | E-mobility 스마트제어 | |
김재형 | E-mobility프로젝트디자인 | |
정은태 | E-mobility프로젝트디자인 | |
경상국립대학교 | 김태웅 | 드론입문과운용 |
고진환 | 인공지능개론 | |
강석근 | 이모빌리티공학개론 | |
김준영 | E-mobility전기재료, E-mobility 디스플레이 | |
정세교 | 전력전자 | |
이왕상 | 차량무선공학 | |
이동구 | E-mobility 디스플레이 | |
양영일 | 센서인터페이스및응용 | |
경남대학교 | 이재곤 | 차량무선공학 |
황선환 | E-mobility모터설계및제어, EV용전력전자시뮬레이션 | |
정태욱 | E-mobility모터설계및제어 | |
인제대학교 | 서창준 | 임베디드시스템설계 |
안상호 | 모바일로봇개론 | |
김남태 | 차량무선공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