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USG 미래중공업 | 교육목표 |
저탄소 연료공급 시스템, LNG-LPG 연료공급, 기계구조 안전성 평가, 엔진연소제어, 전기 추진시스템, 엔진 연소 효율향상 및 배출가스 저감과 같은 미래중공업 기반 기술과 트렌드 지식을 바탕으로 기술을 진단하고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것이 교육의 목표임 |
기대효과 |
문제해결능력을 높이고 학생의 융복합적 역량 향상을 기대 미래중공업 시스템 종합설계를 수행하는 전문인력 양성 |
|
USG 그린모빌리티 | 교육목표 |
모빌리티 동력 생산 방식이 내연기관에서 연료전지 및 배터리로 재편성되는 시점에서, 급증하는 관련 기술에 대한 인력 수요를 신속히 대처하기 위해서는 그린 모빌리티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 및 실습이 요구. 연료전지 배터리의 전기화학을 기반으로 한 에너지 생성 방식의 이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의 전력 변환, 전동기, 전력 및 에너지 제어 등 미래 전동화 모빌리티의 핵심 이론과 실습을 바탕으로 우수한 미래 모빌리티 관련 인재 육성을 목표로 함. |
기대효과 |
지역 내 연료전지 및 배터리 관련 인력 수요에 능동적 대처 가능 실습과 이론의 균형잡힌 교육을 통해 지역 핵심 산업의 실무 기반의 인재 양성 |
|
USG 메타팩토리 | 교육목표 |
모빌리티 산업의 스마트팩토리 고도화의 핵심인 메타버스 기반 스마트팩토리(메타팩토리)의 개념을 이해하고, 관련 이론 및 기술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메타팩토리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고함. |
기대효과 |
모빌리티 산업의 스마트팩토리 구축과 관련한 인재를 양성함. USG공유대학의 미래모빌리티 전공 내 마이크로디그리로 시범 운영함으로써 향후 타 분야로 확산 전개할 수 있음. |
|
USG 스마트 모빌리티 | 교육목표 |
동남권 자동차 관련 업체들은 아직까지 기존의 내연기관 중심의 모빌리티 산업에 머물러 있지만 체질 개선에 나서고 있음. 이에 따라 스마트모빌리티 인력양성이 절실히 필요함. 스마트모빌리티에 대한 기초 지식부터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통신, 디지털 트윈, 자율주행 등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스마트모빌리티 특화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함. |
기대효과 |
지역 내 스마트 모빌리티 인력 수요에 대처할 수 있음. USG 공유대학의 미래모빌리티 전공 내 마이크로디그리로 시범 운영함으로써 향후 타 산업 분야로 확대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음. |
이수기준 및 이수증
각 과정별 15학점 이수 및 필수 비교과 프로그램 2개 이상 이수 시 발급
교과과정 운영
수업방법 : 아래의 수업방법 중 교과 담당교수의 재량으로 진행
① 실시간 양방향 수업 | ② 대면수업 | ③ 문제해결형수업(PBL형수업) | ④ 플립러닝 |
⑤ 블렌디드러닝 | ⑥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또는 동영상 수업) | ⑦ 하이브리드수업 |
수강방법 : USG공유대학 학습관리시스템(LMS)을 이용하여 수강
시험 및 평가 : 2024학년도 학사기준에 따라 운영 및 별도 안내 예정